스스로 해결 : [LG TV 신호없음] 화면에 신호 없음이라는 문구가 나타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Quentin Erdmann 작성일23-08-21 09:56 조회4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HDMI 케이블 자체가 표준으로 정해진 규격이다보니까. 현재 2023년에 와서는 제일 많이 쓰는 규격은 HDMI 2.0 과 HDMI 2.1 입니다. 현재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제거하고 컴퓨터나 게임기 등의 전원을 종료한 뒤 hdmi 케이블을 연결해준 뒤 전원을 켜는 겁니다. 닌텐도나 플레이스테이션 등의 게임기 등이 예시가 됩니다. 노트북 외부 모니터 연결 단자(HDMI)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해보셨나요? 후 외부 모니터를 연결하여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해주세요. TV와 외부기기 전원을 끈(OFF) 후 TV 뒷면 HDMI 케이블을 분리 후 재연결해주세요. HDMI 케이블을 분리 후 재연결 또는 다른 케이블로 교체해보셨나요? 외부기기에서 HDMI 케이블 분리가 가능하면 분리 후 재연결해주세요. 항목을 체크 후 PC를 다시 시작한 후 그래픽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보세요. 맞지 않아서 다시 사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그 제품과 TV를 HDMI 케이블로 연결해 놓은 상태인데 케이블 길이가 너무 긴 나머지 뭔가 밸런스가 맞지 않는 느낌입니다. HDMI 케이블도 규격이 맞지 않으면 샀다가 낭패볼 수 있으니 이번 포스팅에서 참고해서 케이블 구매하면 좋을 듯합니다. 이번 2편에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hdmi 케이블 모니터 신호 없을때 해결 방법을 제대로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앞서 2개의 포스팅을 통해 해결했는데요 이번 편은 셋톱박스에 문제가 있을경우입니다.
게임기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컴퓨터라면 본체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맞는 곳이 한곳밖에 없을테니 쉽게 찾을 수 있을겁니다. 모니터가 어떤 규격을 지원하는지 잘 확인해야 그에 맞는 주사율과 해상도로 부드럽게 영상이 재현됩니다. HDMI 규격에서 보았듯이 해상도만 높아서 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맞는 대역폭이 정해져있습니다. 예전과 달리 모니터의 내부에 설정하는 것이 많습니다. 빔 프로젝트에도 스탠다드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HDMI 케이블은 생각보다 필요한 곳이 많습니다. 2.1을 지원하는 기기는 저렴한 기기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단자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크기에 따라서 지원하는 기기도 큽니다. 앞서 티비가 안나올때 올레티비와 LG티비(엘지티비)를 사용하는 고객 여러분들위한 1편을 포스팅하였습니다. 티비가 안나올때 해결하는 방법 마지막편입니다. 티비를 켰을때 시끄러운 소리만 나고 화면은 안나올때 해결하는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화면은 안나오고 티비에서 소음만 날때 외부입력과 케이블 확인 하셔야합니다. 케이블 연결이 잘되었는지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 콤포넌트 케이블 연결보다 HDMI 케이블 연결 시 화질이 좋으며 연결이 쉬운 HDMI 케이블 사용을 권장합니다. 외부기기와 콤포넌트 케이블이 연결 된 경우에는 녹색, 파란색, 적색 케이블을 재연결해 주세요. ➔ 외부기기와 연결된 케이블 상태가 좋지 않으면 신호 없음이 나옵니다.
➔ 리모컨 외부입력 버튼을 누른 후 외부입력 모드를 변경해주세요. ➔ 자동채널을 실행해 주세요. 해결 방법을 하나씩 순서대로 활용해보면 해결이 될 겁니다. 만약 위의 방법을 모두 사용해봤는데 해결이 안된다면 먼저 안전모드로 접속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한 가지 규격으로 사운드와 영상 모두 전송해주기 때문에 편리하기도 합니다.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가격에 한 번 놀라고, 성능으로 한번 더 놀라는 것으로 깔끔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성능차이는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브랜드 인지도가 있으니 제품의 품질 부분은 의심이 들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가격이 너무 저렴해서 구매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습니다. HDMI 2.0 버전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천원도 안 합니다. 만약 해상도 문제로 연결이 안 된 경우라면 안전모드 접속 시 연결이 될 겁니다. 자신이 이용하고 싶을 때 모니터가 연결 안 되면 답답한 마음이 어마어마할 겁니다.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때 역시 마찬가지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방법을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겁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이물질을 제거한 뒤 장착하면 해결됩니다. 만약 모니터의 문제가 없다면 다른 기기와 연결이 될 것이고 이렇게 되면 처음 연결하고자 했던 기기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케이블 이용 방법을 변경해야 할 수가 있는데 만약 모니터가 INPUT을 hdmi가 아닌 DVI나 DP로 되어 있다면 신호 없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모니터와 연동되는 램이나 그래픽카드에 이물질이 발생해서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꼭 램과 그래픽 카드의 상태를 확인해봅니다. 잔류 전류로 인해서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을 종료할 때는 모든 기기의 전원을 제거한 뒤 10분 정도 기다린 다음 전원을 킨 다음 확인하면 됩니다.
쿠팡에서는 대개 1.5m를 많이 팔며 최대 100m까지 원하는 길이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HDMI케이블에는 버전과 규격, 그리고 해상도 등 여러가지 스펙이 있습니다. C타입인 미니 HDMI는 태블릿, 작은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소형기기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A타입은 노트북, 데스크톱, 모니터를 지원하는 편입니다. 모니터를 컴퓨터 외에 다양한 기기로 연결해서 이용합니다.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서 케이블 모니터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접촉에 문제가 있거나 케이블 내부 선이 끊어진 경우 화면이 제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 노트북 전원을 종료 후 부드러운 칫솔에 소량의 알코올을 묻혀 내부 단자를 청소해보세요. 리모컨의 외부입력 버튼을 누른 후 연결된 HDMI포트를 선택해주세요. 리모컨의 외부입력 버튼을 누른 후 현재방송을 선택해주세요. 하지만 모니터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모니터의 내부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외부적인 문제나 선의 문제 등을 확인한 뒤 다른 문제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른 연결 기기를 연결해봅니다. HDMI 미니와 미니디스플레이 케이블의 경우, HDMI 미니 혹은 미니디스플레이 연결 잭을 컴퓨터에 꽂아주고, 반대 편의 일반 HDMI 케이블 연결 잭을 TV에 연결한다. 케이블의 무게 때문에 단자에 무리가 가지 않을지에 대해서도 조금 걱정이 들었구요. 무엇보다도 케이블 길이가 짧으니까 무게 부담도 없습니다. 케이블 길이가 길다면 두꺼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역시 길이가 짧아서 선 정리에도 용이해서 좋습니다. 우측 두개의 선(빨간케이블,HDMI)은 바로 벽 단자에 꽂으시면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